4년 전에 구상한 음악이건만, 

어느 결에 써질 줄 알고 마냥 기다리고만 있다가. 

가을이 깊어갈 무렵에 그렇게 내 앞에 놓였다. 


이이체 시집 <죽은 눈을 위한 송가>를 상효에게 선물받고

읽던 중에 유난히 눈에 띄는 언어, 말 Animation. 

사전적 의미로는 '생기를 불어넣다'라는 동사의 명사격인데,

보통은 움직이는 만화를 주로 뜻한다. 

실제로 노래를 만드는 이들 또한 animate하지 않나 생각한다. 

이미지를 구체화하고 우리가 하는 말에 가락을 붙여 부른다니, 

그렇게 책을 건네받은 1년여 전부터 줄곧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또 한가지, 

대학시절 수업시간에 읽었던 '소리샘'이란 단편소설. 

우리가 들었던 모든 소리와 이야기는 뇌에 저장이 되는데 그것을 소리샘이라 한다, 

그렇지만 과거의 일에 목마른 사람이 없어 그 샘을 그대로 놓아두고 찾지 않는다, 

샘은 점점 말라가고 사람들의 기억력도 사라지고만다,

그런 내용이 생각이 났다, 이것 또한 애니메이션의 한 줄기가 되었다고. 


그런데 가사를 뭐로 하지, 어떤 식으로 표현을 해야할까. 

막연한 물음에 내가 하고 싶은 이야기는 단 하나였다. 


'바다는 소라껍데기 안에 산다'


처음 선율 그대로 가고자 했지만 분명, 

가사의 음율에 맞추다보면 달라지겠지. 

우리말로 된 적절한 단어를 찾기 힘들었고, 

작업을 시작한 지 일주일 만에 그럭저럭 모양새를 갖추었다. 


적어놓고 싶었다. 그런 저런 과정들을, 

노래하고 싶었다. 노래를 만드는 과정들을. 

노래가 만들어지는 풍경을 노래하는, 

과거에 얽매이는 것보다 과거를 통한 나와 너를 발견하는 일을.


마주치면 생각나는 것과 같이. 




<아내와 제주도 14년 여름>


Animation(141015)


내가 앉지 못하는. 저 쪽 푸르름엔가.

숲에서 우는 아이가. 숨어서 우는 아이가. 있네.


한낮이 한밤이었지. 나무가 말을 걸던가.

너는 무엇을 기다리지? 안 올지도 모를 사람?


우- 우- 

흙이 되어버린 기억들로.

우- 우-

장난감을 만들어. 장난감을 만들어.


노래는 기억이 부르는 것.

그리워하면 그럴수록.

노래는 기억을 부르는 것.

짙어가면 피어나는 꽃.



우리가 그토록 바라던. 순간은 지금 아닌가.

너는 무엇을 기다리지? 안 올지도 모를 미래?


우- 우-

흙이 될 수 없는 기억들로

우- 우-

장난감을 만들어. 장난감을 만들어.


바다는 소라껍데기 안에. 

언제나 살아있다고.

우린 각자 하나의 섬이에요.

섬과 섬을 꿈꾸는 배이자.




'일곱개의 방 Proje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곱번째 방_ 그 마지막,  (0) 2014.11.10
대회_그 많고 많은  (0) 2014.10.27
다섯번째 방 - 오, 가을  (0) 2014.09.30
네번째 방 - 고양이, 청  (0) 2013.12.20
고양이, 청  (0) 2013.11.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