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이 두려운 이유는 보이지 않는 깊음 때문일 것이다.
그러나 그 깊이로 인해 물의 속을 볼 수 없는 것이겠지.
사람의 속도 마찬가지,
너무 깊은 사랑과 사람은 옆에서 보는 누군가에게 쉽게 드러나지 않는다.
물처럼 맑고 물처럼 흐르며 물처럼 누군가를 자기 안에 살게 하는 마음은,
거센 풍랑에 더러워지고 상처받았어도 시간의 자정작용으로 치유되는 마음은,
사람의 것과 닮았다. 






물의 마음.   

깨끗하여 저 속이 훤히 드러나는 것도 모른 채

스스로를 수만번 흐르게 해.

깊이를 잴 수 없는 곳에 잠기게도 하고

날 수 없는 우리 몸을 떠 있게 해주네. 

어딘가로 가는 길의 마지막은 꼭 나이길. 

모든 것을 받아, 

줄 수 있는것만 같은 바다.

그토록 마르지 않는 샘. 








그제서야 잠에서 깬 내가 보인다. 유아기적 낮잠에서 깨어나니 보이는 건 바다. 
한국의 지형적 특성에 따라 광활한 바다를 보기는 어렵지만, 나는 넓은 바다보다는 연안이 좋다.
연안이라는 단어에서 풍기는 멜랑멜랑함이 좋은 걸까.
연안은 떠남의 장소이고자 만남의 장소이고자. 하는 느낌에서다. 
해변은 여름바다, 해안은 교과서에 나올법한. 쓰기 나름이지만 연안이라는 말이 나는 참 좋다.  

 자주 거닐었다. 지금 이 곳을 자주 왔었다. 집과는 꽤 멀지만 충무동에서 교동 방향으로 쭈욱 걸어가면 시끌벅적한 시장을 지나 이곳이 나온다. 하루 반나절을 이 곳 오동도에 와서 해가 저물녘까지 놀았다. '놀다'의 주체만 있을 뿐 놀이의 대상이나 놀이의 도구는 없었다. 지금의 아이들처럼 컴퓨터 게임이 일상에 자주 등장하지도 않았고 만질 수 있는 것에 늘 지루함과 따분함만 느끼는 나였으니까. 물론 가난은 금상첨화였고.  나의 외할아버지는 그가 어릴 적 배를 타고 여수나루터에서 뗄감을 팔았단다. 여행이 끝날무렵 외가를 찾아 할아버지와 저녁을 하면서 그때 배로 얼마나 걸렸는지 물어보았다. 40분 정도. 고흥 도화에서 배를 타고 이곳 여수에 와서 새벽부터 오전까지 해온 장작더미를 팔았단다. 그 돈으로 내 엄마의 형제들과 밥을 먹고 논과 밭을 사고 후에는 나를 키웠단다. 이제는 노쇠해서 흐릿한 두 눈동자에 어느 덧 기운이 불어들어갔다. 회상은 노인에게 참으로 큰 위안이자 힘이다. 아버지는 나에게 바다를 늘 안겨주었다. 그것은 사실대로, 바다의 한가운데로 나를 집어넣었다. 살아서 나오는 것은 너의 의지에 달렸다고 하는 말도 안되는 가르침에 난생 처음으로 욕을 해댔고, 그러면서 헤엄을 쳤다. 가까이에서 본 바다는 무서웠다. 뭍에서 본 것처럼 아름답지도 깨끗하지도 않았으며 심지어는 그 맛이 짠 것을 넘어 쓰기까지 했다. 발 밑은 모래는 커녕 갯벌이 나를 삼키려 달려들었고 온전히 수면 위에 떠 있는 것만이 가장 안전하다는 것을 얼마 후에 알게 되었다. 누구나 그런 형벌을 달게 받는 것은 아니다. 나는 거절하는 법을 몰랐고 시키면 시키는 데로 모든 것을 흡수해나갔다. 지금의 나는 그 때의 물과 흙이 빚어낸 것이라고 늘 말한다. 

 



바다는 온기다. 
 
늘 따스한 기억으로 맞아주니 말이다. 
 
내가 여수를 떠난 1992년 이후로 
 
나는 늘 물이 없는 곳으로 곳으로 갔지만. 
 
기억함에 있어 바다는 신화처럼 
 
나는 그 곳에 살았다.  





 

'여행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국 휴양기 - 코사멧 2-1편 -  (0) 2012.07.25
태국휴양기 - 코사멧 1편 -  (0) 2012.07.24
태국휴양기 -공항편-  (1) 2012.07.23
아주 사적인 여행 - 여수 3  (0) 2011.11.16
아주 사적인 여행 - 여수 1  (0) 2011.11.09


 외갓집, 동화의 씨앗 : 산골소년과 소녀. 그런 동화적 이야기가 아닌 정말 한 동네에서 마주쳤을 법도 한. 그것은 정말 시간이 지나고 보면.  신기하거나 반갑거나 하는 일. 





동화적 요소 여섯,  

" 바다는 소라껍데기 속에 산다. "




해창만이라고 하는 간척지. 원래 그 곳은 바다였다가 오래전에 메워진 농토가 되었다고 했다. 내가 어릴 적에는 비포장 도로였다가 지금은 아스팔트로 아버지의 고향마을까지 쭈욱 이어져 있다. 할아버지의 논에서 놀다가 소라 껍데기라도 나온다치면 그것을 귀에 대고 하루 종일 놀았다. 신기하게도 바다는 줄곧 내 옆에 있어주었다. 메마른 소라껍데기 하나만 주머니에 넣고 바다가 듣고 싶으면 이내 꺼내어 귀에 대었다. 하늘아래, 어디에도 가지 못할 곳은 없었다. 나는 작았지만 하늘은 한 눈에 들어왔고, 그 만큼의 세계를 가진 것 같았다. 왜 어른이 되면 하늘 한번 올려다 보지 못하며 이 모든 자연스러움을 가지지 못할까. 앞만 보고 걸어 넘어지지 않으려고 안간힘을 쓰니까 그런다.  넘어지면 하늘이 보인다. 누워지내면 하늘이 보인다. 딱 그것만이다. 














동화적 요소 일곱,

" 폐교에는 귀신이 아닌 추억이 산다. "



그녀가 유년기를 보낸 것은 거의 대부분은 학교에서였다. 정확히 얘기하면 학교의 '관사'이다. 교사를 부모로 둔 덕분에 그녀는 학교를 벗어난 적이 없었다.  "꼬마야, 넌 어디사니?" 라고 길 가던 동네 어른이 묻자, 냉큼 "학교요." 라고 말하는 것은 그녀에게 당연한 얘기지만, 나와 같은 어린이에게는 웃어넘기지 않을 수 없는 것이었다. 한번은 내가 살던 동네 중학교에 밤만 되면 도깨비 불이 나타난다는 소문이 떠돌아 마을 어른들과 함께 횃불을 들고 간 적이 있었다. 가로등이 있을 리 없고 주위에 불빛이라고는 달과 별밖에 없었는데 신기하게도 빨간색과 파란색 그리고 주황색의 불빛이 유리창에 비춰 각 교실을 돌아다니고 있었다. 혹자는 반딧불이라고 했고 혹자는 횃불이 유리에 비춰 그렇게 보이는 것이라고도 했다. 그럴 때에 나는 저 멀리 보이는 교회의 십자가에서 빛나는 빛이 이곳까지 전달되어 희미하게 빨갛고 파랗고 혹은 주홍의 빛으로 굴절되어 유리에 빛나고 있음을 알았다. 소문을 잠재우기에 나는 너무 어렸고, 내가 그렇다고 말을 해도 믿어줄 사람이 누가 있었을까. 이렇듯, 폐교에는 흉측한 귀신이 사는 것이 아니라, 귀신이 살꺼라는 그럴듯한 소문과 소문을 둘러싼 우리들의 상상과 기막힌 추억담이 있을 뿐이다. 














동화적 요소 여덟,

" 핸드폰만 등장하지 않았지 사람 사는 이야기란 예나 지금이나 비슷하다. "




  핸드폰. 
그것이 등장한 것은 내가 고등학교를 다닐 무렵이었다. 
핸드폰이 상용화되고 지금에서야 나의 분신처럼 되어버렸지만 
그런 게 없이도 참 잘 살았던 옛날 이야기가 그립다.

그것 참 옛날 이야기라고 하니까 호랑이 담배 피우던 얘기인줄 알겠다. 
그렇지만 지금에 와서 어제의 이야기는 정말로 옛 이야기가 되고 있다. 
새로운 것들이 하루가 멀다하고 출현하고, 새롭지 않은 것들은. 
색이 바래고 먼지가 되어 없어진다. 이 모든 것이 순식간에 일어난다. 

십년이면 강산이 변한다고 했다. 
이십년이 지나도 내가 살던 곳의 강산은 변하지 않았다. 
그런데 강산은 그대로인데, 다른 것들이 변해, 없다. 
있을 곳에 있어야 할 것들이 이리 저리 옮겨 가고 없다. 
마음이 차고 넘치던 곳에 울타리가 높아가고. 
열려 있던 대문은 굳게 잠겨 있다. 
누구라도 외래의 손님이 오면 반갑게 하던 인사는 없고, 
의심의, 경계의 눈초리만 있을 뿐이다. 

마당의 무화과는 점점 익어가 하나 둘 땅으로 떨어져 개미의 밥이 될 지언정
누구의 수확도 기다리지 않는다. 가꾸고 키워 수확하는 것이 아니라 돈을 내고
물건을 사면 그 뿐인 것 같다. 익을 때까지 기다리는 마음도 사라지고 
함께 나눠먹는 재미도 사라지고 없다. 

여느 때와 마찬가지로 핸드폰을 열어 시간을 확인한다. 
누군가 나를 찾는 사람은 없나 하고 핸드폰을 연다. 

시간은 훌쩍 지나 있었고, 나를 찾는 사람은 없다. 
것은 우리 집 앞마당 무화과 나무가 한 말이렷다. 
















동화적 요소 아홉, 

" 바다위의 산,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섬이라고 했다."




때로는 보이는 것이 전부라고 믿고 싶다. 바다위에 볼록 솟은 산이 섬이라고 생각하기 이전에 그냥 바다위의 산이라고 생각하고 싶었다. 그래야 마음이 편해졌다. 꾸준하게 펼쳐진 물이 멀리 산을 지탱해주는 것처럼, 혹은 산이 배처럼 바다위를 떠다니는 것은 아닐까 하고 보았다. 나의 아버지는 학교를 다니기 위해 아침 저녁으로 한시간여를 배를 타야 했고, 누군가의 에미 애비도 그랬을 것이었지만 그 때 내가 본 것들이 실제로도 그랬으면 참 좋겠다는 생각을 했다. 하지만 바다위를 떠다니는 산은 '다리'라고 하는 사다리처럼 생긴 막대를 통해 육지에 묶여버렸다.  나의 아버지는 좀 더 편하게 학교를 다녔을 지는 모르지만, 나는 그 때부터 바다위의 산을 믿지 않게 되었다. 사실 멀리서는 내 손가락 안에 들어와있던 것들이 다리를 지나니 내 몸을 이리 저리 굴려도 그 안에서 좀처럼 벗어나기 힘들게 되었다. 원근의 원칙을 따지려는 것이 아니다. 그냥 보이는 것 자체를 믿고 싶은 마음. 그 뿐이었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손가락 안에 들어있던 산이 어느새 나를 품어 올려다 보면 목이 아플 정도의 높은 하늘과 맞닿아 있는 것을 몸소 아는 것이라고 생각했다. 어른이 된다는 것은. 















동화적 요소 열, 

" 나의 가장 좋은 사진사는 거울이다. "





물론 나의 당신이 될 수 있고, 당신에게 내가 될 수도 있는 질문이지만. 
우리가 올바르게 서로의 모습을 담고자 한다면 그것은 거울. 

나르키소스의 강물처럼 누군가를 비추어주는 것이 존재의 이유였던 그 강물처럼. 
우리가 서로를 비추어 서로의 행복과 불행의 곁에서 잠잠히 안식할 때. 
그것은 둘이서 할 수 있는 가장 좋음의 것. 

나와 너의 눈은 세상에서 가장 영롱한 빛이 머물다 간 자리. 
그것은 우리가 함께 있을 때. 
그것은 우리가 서로를 바라볼 때. 

거울. 

그것은 상대방을 응시하는 사람의 눈. 
눈과 눈이 마주치는 곳에 보이지 않는 투명함. 

투명한 비늘을 벗고 새사람이 된 옛 사도 바울처럼. 
투명함의 옷을 입고 서로를 재지 않아도 될 만큼의 마음으로. 
서로를 바라볼 때. 그것은 거울. 

우리가 어릴 적 품었던 막연한 희망이. 
이제는 서로에게 간절한 소망으로 바뀌어. 
우리는 이제 어른. 어른이라고 느낄 때. 

한번 씩 꺼내보는 거울. 
한번 씩 꺼내보는 거울. 

그렇게 사진을 찍어나간다. 



















씨앗을 심고 맡겨두자. 
기다리면. 동화처럼 내 삶이 변한다. 
외갓집, 나의 동화의 씨앗. 
















'애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이 차가운 이유, 따뜻한 이유.  (0) 2011.03.25
미사리경정장  (0) 2010.10.26
외갓집, 동화의 씨앗 1  (1) 2010.08.21
서른에게 보내는 편지 - 둘째날 -  (2) 2010.05.08
서른에게 보내는 편지 - 첫째날 -  (2) 2010.04.22

+ Recent posts